본문 바로가기
쓸모있는 육아정보

2025년 맞벌이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 사용 주요 변경 사항 및 기대 효과

by 찌용팩토리 2025. 3. 14.
728x90
반응형

2025년 맞벌이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 사용 주요 변경 사항 및 기대 효과

 

2025년 2월 23일부터 맞벌이부부는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우자 출산휴가와 난임치료휴가도 확대됩니다. 이번 개정은 저출생 문제 해결과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본문에서는 주요 변경 사항과 기대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맞벌이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 사용 개정 배경

기존의 육아휴직은 부모 각각 1년으로 제한되어 있어 맞벌이 가정에서 육아 부담이 컸습니다. 이번 개정을 통해 육아휴직 기간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되었으며, 맞벌이부부가 함께 사용할 경우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개정은 2024년 6월 정부가 발표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2024년 10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후 2025년 2월 23일부터 시행됩니다.

 

주요 변경 사항

이번 개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변경되었습니다.

  • 육아휴직 기간 연장
    • (기존) 부모 각각 1년
    • (개편) 부모 각각 1년 6개월 (맞벌이 합산 최대 3년)
  •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기존) 10일
    • (개편) 20일 (중소기업 근로자 급여지원 5일 → 20일 확대)
    • 출산 후 90일 이내 사용 → 120일 이내 사용
    • 최대 4회 분할 사용 가능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임신 12주 이내, 36주 이후 → 12주 이내, 32주 이후
    • 고위험 임산부(다태아, 조산 위험 등)는 임신 전 기간 단축 가능
  • 난임치료휴가 확대
    • (기존) 3일
    • (개편) 6일 (유급 2일 지원, 중소기업 근로자 정부 급여지원)
  • 유산·사산휴가 기간 확대
    • (기존) 5일
    • (개편) 10일 (임신 15주 이내)
    • 최대 90일까지 휴가 가능

기대 효과 및 향후 전망

이번 개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됩니다.

  • 맞벌이 가정의 육아 부담 완화: 부모가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어 육아 공백 감소
  • 일·가정 양립 지원: 근로자들이 보다 유연하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
  • 출산율 제고: 출산 및 육아 지원 강화를 통해 저출생 문제 해결 기여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육아휴직을 맞벌이부부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맞벌이부부가 동시 사용이 가능하며, 각각 1년 6개월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

Q2. 배우자 출산휴가는 유급인가요?

A. 네, 배우자 출산휴가의 최초 10일은 유급이며, 이후 10일은 기업의 정책에 따라 다릅니다.

Q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도 변경되었나요?

A. 네, 육아휴직 미사용기간을 두 배 가산하여 최대 3년까지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개정은 육아 부담 완화와 일·가정 양립을 돕기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글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