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가 확정되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내용 정리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대통령선거의 전체 일정과 투표 시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2025년 대선은 언제?
- 투표일: 2025년 6월 3일 화요일
- 투표시간: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 공휴일 여부: 임시공휴일로 지정
이번 대선은 평일(화요일)에 진행되지만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 직장인이나 학생들도 부담 없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일정은?
- 사전투표일: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시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장소: 전국 어디서나 가까운 사전투표소에서 가능
- 신청 필요 없음, 신분증만 지참하면 OK!
주말이 아니라도 전국 어디에서나 사전투표가 가능하기 때문에 미리 일정 조정해두면 좋습니다.
누가 투표할 수 있나요? (유권자 자격)
-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 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까지 가능
생일이 2007년 6월 4일 이전이라면 생애 첫 투표 기회가 주어집니다. 특히 고3 학생들도 대상이 될 수 있어요.
투표 시 꼭 챙겨야 할 준비물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투표가 가능합니다. 아래 중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공무원증
- 국가기술자격증(산업인력공단 발급)
- 학생증(사립 포함)
- 모바일 신분증(PASS,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도 가능
단, 모바일 신분증은 화면에 이름·생년월일·사진이 함께 표시되어야 합니다. 캡처본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내가 어디서 투표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투표소는 지정된 내 투표소에서 투표해야 합니다.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지만, 본투표는 주민등록지 기준입니다.
네이버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주소 입력 후 투표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별투표 안내: 거소투표·재외투표·선상투표
해외에 있거나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도 투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 거소투표: 집에서 우편으로 투표 가능 (사전 신청 필요)
- 재외투표: 해외 공관에서 투표
- 선상투표: 선박 승선 중인 경우 별도 방식으로 진행
사전 신청 기간과 방법은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대선 당일 회사에서 시간 안 주면 어떡하죠?
A. 선거권자는 법적으로 투표 시간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반 시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합니다.
Q. 사전투표도 본인 주소지 아닌 곳에서 가능한가요?
A. 네,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합니다. 여행지, 직장 근처에서도 투표할 수 있어요.
Q. 준비물 깜빡하면 현장 투표 못하나요?
A. 신분증 없이는 투표가 불가능하므로 꼭 챙겨가세요. 모바일 신분증도 유효합니다.
요약 정리
선거일: 2025년 6월 3일 (화)
사전투표일: 5월 29일(목) ~ 30일(금)
투표시간: 본투표는 오전 6시~오후 8시 / 사전투표는 오후 6시까지
유권자 기준: 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
필수 준비물: 신분증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이번 2025년 대선은 대한민국의 미래 5년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거입니다. 한 표 한 표가 우리의 삶을 바꾸는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잊지 말고, 꼭 투표하세요!
'쓸모있는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 편하게 마시는 해독 수프 만들기 사과,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로 만드는 디톡스 레시피 이나연 해독 수프 (2) | 2025.04.14 |
---|---|
[웨딩홀 후기] 부천 라비에벨 컨벤션 웨딩홀 (1) | 2025.04.14 |
벚꽃 말고 이젠 봄꽃 2025 수선화·튤립·유채꽃 명소 추천 (1) | 2025.04.13 |
경기도 봄꽃 가볼만한 곳 봄꽃보기좋은 곳 사진 찍기 좋은 인생샷 명소 모음 (1) | 2025.04.13 |
위고비 다이어트약 위고비 처방 가격, 한 달 비용, 지역별 가격 비교까지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