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고리즘] 해시 테이블, 해시 함수 이란? 해시 테이블 이해하기 해시 테이블은 컴퓨터 과학에서 중요한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 검색 및 조작하는 효율성으로 인해 중요도가 높습니다. 뛰어난 랜덤 접근 기능을 통해 상수 시간에 작동할 수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터 언어 처리 알고리즘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해시 테이블의 작동 방식, 응용 분야 및 해싱 함수의 중요성을 자세히 이야기하겠습니다. 해시 테이블: 작동과 응용 해시 테이블의 핵심에는 "키"라고 불리는 고유 식별자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배열과 유사한 구조가 있습니다. 해시 테이블에서 수행되는 기본 작업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1. 삽입 (Insert) 데이터를 해시 테이블에 삽입할 때는 해시 함수가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버킷을 결정합니다. 그런 다음 해당.. 더보기 [알고리즘] OX 퀴즈 리스트 내포 if else 반복문 eval 함수 프로그래머스 앞선 과정으로 이제 리스트 내포를 활용한 함수 생성에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알지 못했던 eval 함수의 존재.. eval 함수는 코딩 테스트 시에는 사용하면 좋지만 실제 개발시에 굉장히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코딩 테스트 때에 아래와 같은 O, X 문제 풀때 eval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하나 하나씩 split 해주고 분리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잘 활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리스트 내포. 정말 간결하게 짤수 있어서 좋다. def solution(quiz): result = ["O"if eval(i.split("=")[0]) == eval(i.split("=")[1]) else "X" for i in quiz ] return result 위의 코딩에서는 이전의.. 더보기 [알고리즘] n의 배수 고르기 리스트 내 반복문, 조건문 사용 프로그래머스 level 0 앞선 포스팅에서 리스트 내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적어두었다. 그래서 코딩 할때 가급적 리스트의 결과를 리턴해야 할 경우에는 한번에 리스트내 반복문, 조건문을 사용하는 구조가 안되더라고 바꿔보기로 했다. 아래는 처음에 그냥 또 직관적으로 코딩 했던 것 def solution(n, numlist): result = [] for i, num in enumerate(numlist): if num % n == 0: result.append(num) print(result) return result 아래의 코드는 리스트 내 반복문, 조건문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def solution(n, numlist): return [num for num in numlist if num % n == 0] 조금..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