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48

[일상] 대기업 데싸의 리얼이야기 현재 대기업 데싸로 일하고 있지만 매번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 약간의 두려움과 위기의식을 느끼고 개인공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실 학위를 하며 연구원 생활을 하던 사람인지라 실제 기업에서의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 체계에 무지하였으며 인공지능 알고리즘 또한 연구 레벨에 머물렀던 터라 대기업에 이직을 한뒤 많은 배움이 필요하였습니다. 저와 같은 경험을 직장에서 하고계신 분들이 꽤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댓글을 통해 소통하면서 개발 지식, 최신 기술 및 인공지능 관련 스터디 함께 해나가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현재 제가 매주 진행하고 있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 코딩 공부 : 코딩테스트 사이트 (programmers) 활용하여 level 0,1 부터 낮은 정답률 위주의 문제 풀기 (.. 2024. 2. 7.
[인공지능] Hugging Face 이용 방법 Hugging Face? 들어보셨나요? 요즘 자연어 처리 관심있는 분들은 모르는 분 없으실겁니다..ㅎㅎ 스타트업 이지만 미국과 프랑스에 회사를 두고 있고 요즘에는 한창 링크드인에서 인턴쉽 모집을 하고 있더라구요. 인공지능 대표 커뮤니티답게 새로운 논문들을 기반으로 코드들을 제시해주니 정말 갖다쓰기 넘나 편리하더라구요. 그리고 특히 허깅페이스의 귀여운 로고는 제가 원래 제일 잘쓰는 이모티콘을 본따서 만든거더라구요. 넘 귀엽고 참신하죠? 좀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Hugging Face는 자연어처리를 위한 혁신적인 도구 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연어처리(NLP) 분야에서는 엄청난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연어처리 모델을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는데,.. 2024. 2. 6.
[딥러닝] view, reshape 차이? 모델링 차원 크기 변경 방법 딥러닝 모델을 만들때 데이터 처리기술은 정말로 중요하다. 처음 모델링을 한다면 위의 4가지 특징에 대하여 혼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한번 정리해보려 한다. 딥러닝에서 view, squeeze, unsqueeze, reshape 는 텐서의 모양을 조작하고 변형하는데 중요한 연산작용을 한다. 이에 대한 각각의 기능과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1. view (차원 변경) - view는 텐서의 원소의 개수를유지하면서 차원을 조정한다. 아래의 예시를 보면 원본 텐서 생성이 12이고 12의 약수가 3 *4 이다. 따라서 이 원소의 개수를 유지하면서 차원을 변경한 형태이다. import torch # 원본 텐서 생성 x = torch.arange(12) # 텐서의 모양을 (3, 4)로 변경 y = x.view(3,.. 2024. 2. 4.
[알고리즘] OX 퀴즈 리스트 내포 if else 반복문 eval 함수 프로그래머스 앞선 과정으로 이제 리스트 내포를 활용한 함수 생성에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알지 못했던 eval 함수의 존재.. eval 함수는 코딩 테스트 시에는 사용하면 좋지만 실제 개발시에 굉장히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코딩 테스트 때에 아래와 같은 O, X 문제 풀때 eval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하나 하나씩 split 해주고 분리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잘 활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리스트 내포. 정말 간결하게 짤수 있어서 좋다. def solution(quiz): result = ["O"if eval(i.split("=")[0]) == eval(i.split("=")[1]) else "X" for i in quiz ] return result 위의 코딩에서는 이전의.. 2024. 2. 3.
[알고리즘] n의 배수 고르기 리스트 내 반복문, 조건문 사용 프로그래머스 level 0 앞선 포스팅에서 리스트 내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적어두었다. 그래서 코딩 할때 가급적 리스트의 결과를 리턴해야 할 경우에는 한번에 리스트내 반복문, 조건문을 사용하는 구조가 안되더라고 바꿔보기로 했다. 아래는 처음에 그냥 또 직관적으로 코딩 했던 것 def solution(n, numlist): result = [] for i, num in enumerate(numlist): if num % n == 0: result.append(num) print(result) return result 아래의 코드는 리스트 내 반복문, 조건문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def solution(n, numlist): return [num for num in numlist if num % n == 0] 조금.. 2024. 2. 2.
[알고리즘] 2차원으로 만들기 리스트 내부에 반복문 함수 프로그래머스 level 0 이제는 좀 더 심화해서 리스트 내의 함수를 사용해서 불필요한 반복문을 줄여보기로 했다.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시 데이터 전처리가 중요한 부분이나 그렇게 까지 신경쓰지 못했던 부분들이 있었다. 컴공 출신이 아니라 그런지 더더욱 교육의 부재가 크게 느껴졌다.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을지. 간결함 뿐만 아니라 시간 복잡도의 효율성을 고려해서 짜고 싶어졌다. 습관적으로 함수를 생성할 때, 변수를 만들고 또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하고 생성하고... 해서 for 문, if, else를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했다. 그런데 최종적으로 리스트에 결과가 나오도록 하려면 리스트 내에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2차원 만들기 코딩할때 도전해봤다. def solution(num_list, n).. 2024. 2. 1.
728x90
반응형